본문 바로가기

임상증례

황달을 동반한 간내 담관암 증례 / 풍암동 소문난 내과

50대 환자분으로 소화불량이 지속되어 내원하였습니다.

진료실에 들어오셨을 때 얼굴이 노랗게 관찰되는 황달 소견 소견 및 결막에도 황달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피부의 가려움증을 호소 하였습니다.

안면부 및 결막의 황달간담도계의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피부의 가려움증 역시 체내의 황달 수치(빌리루빈 상승) 으로 인했을 가능성이 높아 원인을 확인하기위해 복부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습니다.

 
 
 
 

복부 초음파에서는 간 내부의 담관이 확장된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간내담관 확장이 있는 경우, 담석 및 종양으로 인해 담도가 막혀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. 총담관을 확인시에는 총담관의 확장 및 폐색소견은 없어 간내 담도의에 문제가 있음을 추측해볼 수 있었습니다.

간 우엽에서 원발 병소로 판단되는 7.7cm 크기의 불규칙한 음영의 저음영 종괴가 발견되었고, 1.5~ 2.4cm 크기의 다수의 저음영 병변들이 간 내부에 관찰되어 종양의 간 전이 가능성을 시사하였고 일련의 소견으로 봤을때 간전이를 동반한 간내담도암 가능성이 높았습니다.

혈액검사에서는 총 빌리루빈 (황달 수치) 및 직접 빌리루빈 수치가 상승되어있었고 ALP의 증가로 폐색성 황달 소견을 보이고 있었고 췌장 및 담도계암과 연관이 있는 CA 19-9 는 경도로 상승이 된 상태였습니다.

검 사
정상 범위
결 과
Total Bilirubin / Serum
≤1.20
mg/dL
12.71(▲)
γ-GTP / Serum
9 ~ 64
U/L
257(▲)
AST[SGOT] / Serum
≤40
U/L
58(▲)
ALT[SGPT] / Serum
≤41
U/L
58(▲)
ALP / Serum
30 ~ 120
U/L
453(▲)
Direct Bilirubin / Serum
≤0.30
mg/dL
6.88(▲)
AFP / Serum
≤9.0
ng/mL
13.9(▲)
CA-19-9 / Serum
≤35.00
U/mL
45.94(▲)

복부 초음파 및 혈액검사를 확인했을 때 종양으로 인해 담도가 막히면서 황달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.

확실한 감별을 위해 복부 CT 를 진행하였습니다.

 
 
 
 

복부 CT 결과 , 8cm 크기의 간내 담관암 소견 및 간내부의 전이 소견이 관찰되어 복부 초음파에서 관찰되었던 병변이 그대로 확인이 되었고

간내 담관암에 대한 추가적인 검사 및 치료를 위해 3차 병원으로 전원을 하였습니다.


 

 

 


온라인 검사 예약

 

풍암동 소문난내과에서는 네이버 예약 서비스를 통해 진료외 시간외도 환자분들의 검사 예약을 돕고 있습니다.

단 이 서비스는 예약확정이 아니라 본인과 유선통화를 통해 예약 확정이 된다는 사실에 주의하십시요.

 

 


병원 위치 

광주광역시 서구 풍암중앙로 51 호암빌딩, 2층

 


주차 안내